|
![[이제는 경제다] 삼성전자 경기침체에 중국산 침투로 국내 매출 감소, 스마트폰 가전 구독 모델로 돌파](https://www.businesspost.co.kr/news/photo/202504/20250417155805_204457.png)
▲ 삼성전자의 국내 매출이 내수 침체와 중국산 제품의 침투로 하락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삼성전자는 가전제품과 스마트폰의 구독 서비스 모델로 위기 돌파를 시도하고 있다. <그래픽 비즈니스포스트>
특히 삼성전자 매출의 60%를 차지하는 미국과 중국 시장은 관세 전쟁에 따른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어, 내수 시장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삼성전자는 국내 소비자가 더 쉽게 높은 가격대의 스마트폰과 가전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구독 사업 모델을 확대해 위기 돌파를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17일 관련 업계 취재를 종합하면 내수 사장이 위축되며 삼성전자 국내 시장 매출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국내 매출은 20조2978억 원으로 2022년 22조1799억 원과 비교해 8.48% 줄었다. 코로나 사태가 마무리된 2022년 이후 감소세를 이어오고 있다.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의 경우 매출의 80% 가량이 해외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국내 매출 감소의 대부분은 스마트폰과 가전제품 수요 감소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내수 시장이 침체를 거듭하면서 회사의 국내 스마트폰과 가전제품 판매량이 계속 줄고 있다.
지난해 회사의 국내 스마트폰 총 출하량은 1253만 대로 전년보다 7.7% 줄었다. 특히 회사가 주도하는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은 38.9%나 감소했다.
국내 스마트폰 출하량 점유율에서 삼성전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70%를 넘는다. 다시 말해 국내 스마트폰 출하량 감소는 삼성전자 전체 스마트폰 판매 감소와 직결되는 것이다.
국내 소비자의 가전제품 구매력도 감소하고 있다.
소비자 구매력을 나타내는 소매판매지수(RSI)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 사태가 지나간 2022년 1분기부터 2024년 4분기까지 국내 가전제품 구매력은 29.6%나 줄었다.
계절조정을 반영한 가전제품 소매판매지수는 2022년 1분기 115.5, 2분기 102.2, 3분기 100, 4분기 98.8, 2023년 1분기 90, 2분기 91.1, 3분기 90.1, 4분기 88.4, 2024년 1분기 86.3, 2분기 87.6, 3분기 85, 4분기 81.3으로 지속 낮아지고 있다.
홍성국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겸 국가경제자문회의 의장은 최근 비즈니스포스트와 인터뷰에서 “내수 시장이 성장 못한지 15년 이상 된다”며 “코로나가 끝나고 물가 인상에 따른 금리 상승으로, 가계 소비 규모가 줄어 내수 시장은 더 악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게다가 중국산 중저가 제품의 국내 침투는 삼성전자의 내수 판매 상황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세계 TV 시장 점유율 2위에 오른 중국 TCL은 지난해 말 서울에 한국 법인을 설립했다. 중국 하이얼, 메이디 등은 TV, 세탁기 냉장고, 건조기 등을 쿠팡에 입점하고, 사후서비스(AS)를 제공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KITA)에 따르면 올해 1월과 2월 한국이 수입한 중국 TV는 5200만 달러(약 737억 원) 규모로 전년 동월 대비 약 22% 증가했다.
지난해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에서는 중국 로보락은 35.5%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다. 게다가 롯데 백화점과 신세계 백화점에는 단독 매장까지 열었다. 로보락의 국내 매출은 2020년 291억 원에서 2024년 2천억 원으로 7배 가량 뛰었다.
![[이제는 경제다] 삼성전자 경기침체에 중국산 침투로 국내 매출 감소, 스마트폰 가전 구독 모델로 돌파](https://www.businesspost.co.kr/news/photo/202311/20231106103336_90374.jpg)
▲ 중국 로보락의 로봇청소기 대표 제품 'S8프로울트라'. <롯데백화점>
삼성전자는 스마트폰과 가전 구독 서비스 모델을 내수 판매 침체 돌파구로 선택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2월 가전제품 구독 서비스를 시작했는데, 지난 3월 판매된 올레드(OLED)와 네오 퀀텀닷LED TV 판매의 50% 이상이 구독 서비스를 통해 이뤄졌다. 지난해 12월 20% 수준에서 배 넘게 늘어난 것이다.
구독 서비스의 장점은 소비자에게 가격이 비싼 제품을 구매하는 부담을 줄여준다는 점이다. 삼성전자가 판매하는 가전제품 대부분이 고가 프리미엄 제품인 점을 고려하면, 소비자 판매 증가에 긍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지난 1월24일부터 갤럭시S 시리즈 스마트폰에도 구독 모델을 적용했다. 월별로 기기 가격을 지불하고 기기를 반납하게 되면 최대 50%의 잔존가격을 보장, 소비자 구매 문턱을 낮추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내수 시장이 악화하는 상황에서 구독 서비스는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다”며 “다만 정부와 재계가 힘을 모아 내수 시장을 살리고, 기업을 도울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호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