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CJ올리브영이 외국인들의 K뷰티 쇼핑 필수 코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CJ올리브영은 올해 상반기 오프라인 매장의 외국인 매출 비중이 26.4%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코로나19 엔데믹이 시작된 2023년 상반기 한 자릿수에 머물던 외국인 매출 비중이 꾸준히 증가해 올해 2분기에는 처음으로 30%대에 진입했다.
한국관광데이터랩에 따르면 올해 1~5월 약 720만6700명이 한국을 방문했다. 같은 기간 올리브영에서 구매한 외국인 고객 수는 596만2700여 명이다.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10명 중 8명이 올리브영에서 물건을 구매했다는 의미이다.
올리브영은 서울 명동ᐧ홍대ᐧ강남 등 전국 110여 개 매장을 ‘올리브영 글로벌관광상권’으로 지정해 특별관리하고 있다.
영어와 일본어, 중국어 등 외국어 가능 직원을 배치하고 프로모션 정보를 영문으로 병기해 외국인 쇼핑 편의를 높였다. 주요 매장에서는 여권을 지참한 외국인이 1만5천 원 이상 구매하면 세금을 제외한 금액으로 결제하는 ‘부가세 즉시환급’도 시행한다.
7월 초 개점한 ‘올리브영 센트럴 강남 타운’에서는 외국인 고객을 위한 퍼스널 쇼퍼 서비스도 도입했다. 글로벌 여행 예약 플랫폼을 통해 사전 예약하면 45분 동안 매장 안내부터 상품 소개, 구매 상담까지 제공한다.
지역 특화매장의 외국인 매출 비중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한옥 디자인으로 꾸며진 ‘경주황남점’이 있는 경북 경주시와 부산 해운대 등은 1분기 외국인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세 자릿수 이상 증가했다.
올리브영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와도 협업하고 있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준비단은 경주 황남점에서 ‘K뷰티 도슨트’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올리브영 청주타운은 청주국제공항 국제선 노선 확대에 발맞춰 ‘청주여행쿠폰북’ 사업에 참여했다.
CJ올리브영 관계자는 “올리브영이 한국 필수 쇼핑 코스로 자리잡은 만큼 K뷰티를 소개하는 ‘글로벌 K뷰티 게이트웨이’ 역할을 다하겠다”며 “앞으로도 중소ᐧ신진 브랜드를 발굴하고 소개해 K뷰티의 글로벌 인지도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전해리 기자
CJ올리브영은 올해 상반기 오프라인 매장의 외국인 매출 비중이 26.4%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코로나19 엔데믹이 시작된 2023년 상반기 한 자릿수에 머물던 외국인 매출 비중이 꾸준히 증가해 올해 2분기에는 처음으로 30%대에 진입했다.

▲ CJ올리브영이 올해 상반기 오프라인 매장의 외국인 매출 비중이 26.4%를 기록했다고 22일 밝혔다. < CJ올리브영 >
한국관광데이터랩에 따르면 올해 1~5월 약 720만6700명이 한국을 방문했다. 같은 기간 올리브영에서 구매한 외국인 고객 수는 596만2700여 명이다.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10명 중 8명이 올리브영에서 물건을 구매했다는 의미이다.
올리브영은 서울 명동ᐧ홍대ᐧ강남 등 전국 110여 개 매장을 ‘올리브영 글로벌관광상권’으로 지정해 특별관리하고 있다.
영어와 일본어, 중국어 등 외국어 가능 직원을 배치하고 프로모션 정보를 영문으로 병기해 외국인 쇼핑 편의를 높였다. 주요 매장에서는 여권을 지참한 외국인이 1만5천 원 이상 구매하면 세금을 제외한 금액으로 결제하는 ‘부가세 즉시환급’도 시행한다.
7월 초 개점한 ‘올리브영 센트럴 강남 타운’에서는 외국인 고객을 위한 퍼스널 쇼퍼 서비스도 도입했다. 글로벌 여행 예약 플랫폼을 통해 사전 예약하면 45분 동안 매장 안내부터 상품 소개, 구매 상담까지 제공한다.
지역 특화매장의 외국인 매출 비중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한옥 디자인으로 꾸며진 ‘경주황남점’이 있는 경북 경주시와 부산 해운대 등은 1분기 외국인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세 자릿수 이상 증가했다.
올리브영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와도 협업하고 있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준비단은 경주 황남점에서 ‘K뷰티 도슨트’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올리브영 청주타운은 청주국제공항 국제선 노선 확대에 발맞춰 ‘청주여행쿠폰북’ 사업에 참여했다.
CJ올리브영 관계자는 “올리브영이 한국 필수 쇼핑 코스로 자리잡은 만큼 K뷰티를 소개하는 ‘글로벌 K뷰티 게이트웨이’ 역할을 다하겠다”며 “앞으로도 중소ᐧ신진 브랜드를 발굴하고 소개해 K뷰티의 글로벌 인지도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전해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