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정보보호 전담 조직을 격상해 보안 역량을 높인 점을 인정받았다.
토지주택공사는 국가정보원이 실시하는 ‘사이버보안 실태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우수’를 받았다고 22일 밝혔다.
국정원은 매년 사이버 공격과 위헙에 관한 대응을 목적으로 국가 및 공공기관의 사이버보안 실태를 평가하고 있다.
올해 평가에서는 관리적 보안, 기술적 보안, 위기대응 역량 등 분야 3개와 하위 항목 42개에 관한 이행 여부를 살폈다.
토지주택공사는 지능화, 고도화하는 사이버위협 대응을 위해 지난해 정보보호 전담 조직을 2급 ‘정보보안센터’에서 1급인 ‘정보보안처’로 확대 개편한 점을 높게 평가 받았다.
토지주택공사는 전담 조직 확대 개편과 함께 인공지능(AI) 기반 지능형 보안관제 시스템을 도입했다.
또한 △민간 클라우드와 연계한 통합 관제 구축 △이상징후 탐지 강화를 위한 시스템(EDR) 도입 △취약점 진단 및 선제 조치를 위한 민간 전문기관 사전컨설팅 추진 등을 통해 보안 수준을 높이기도 했다.
김재경 토지주택공사 경영관리본부장은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국민의 소중한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대응력을 계속해서 고도화하고 있다”며 “이번 ‘우수’ 등급 달성을 발판 삼아 다양한 사이버보안 강화 전략을 통해 역량을 제고하겠다”고 말했다. 장상유 기자
토지주택공사는 국가정보원이 실시하는 ‘사이버보안 실태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우수’를 받았다고 22일 밝혔다.

▲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사이버보안 역량의 우수함을 입증했다.
국정원은 매년 사이버 공격과 위헙에 관한 대응을 목적으로 국가 및 공공기관의 사이버보안 실태를 평가하고 있다.
올해 평가에서는 관리적 보안, 기술적 보안, 위기대응 역량 등 분야 3개와 하위 항목 42개에 관한 이행 여부를 살폈다.
토지주택공사는 지능화, 고도화하는 사이버위협 대응을 위해 지난해 정보보호 전담 조직을 2급 ‘정보보안센터’에서 1급인 ‘정보보안처’로 확대 개편한 점을 높게 평가 받았다.
토지주택공사는 전담 조직 확대 개편과 함께 인공지능(AI) 기반 지능형 보안관제 시스템을 도입했다.
또한 △민간 클라우드와 연계한 통합 관제 구축 △이상징후 탐지 강화를 위한 시스템(EDR) 도입 △취약점 진단 및 선제 조치를 위한 민간 전문기관 사전컨설팅 추진 등을 통해 보안 수준을 높이기도 했다.
김재경 토지주택공사 경영관리본부장은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국민의 소중한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대응력을 계속해서 고도화하고 있다”며 “이번 ‘우수’ 등급 달성을 발판 삼아 다양한 사이버보안 강화 전략을 통해 역량을 제고하겠다”고 말했다.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