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재단 어린이·청소년 기후정책 의견 수렴, '플라스틱·쓰레기 저감'이 1위

▲ 국내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차기 대통령에게 가장 바라는 정책은 '플라스틱과 폐기물 저감 정책'이라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진은 환경재단 산하 어린이환경센터가 진행한 설문조사 포스터. <환경재단>

[비즈니스포스트] 국내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대통령에게 가장 바라는 환경 정책이 폐기물 저감 정책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환경재단 산하 어린이환경센터는 6월3일 조기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어린이와 청소년 107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후위기 시대, 다음 대통령에게 바란다' 설문조사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기후위기로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될 미래세대가 어떤 환경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는지, 어떤 변화를 요구하는지 등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됐다.

이번 조사는 5월1일부터 18일까지 진행됐으며, 미래세대가 가장 심각하게 바라본 환경문제는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54.1%)였고 '플라스틱과 쓰레기 문제'(49.4%)가 그 뒤를 이었다.

차기 대통령에 바라는 최우선 환경 정책은 '플라스틱과 쓰레기 저감 정책'(54.5%)으로 파악됐다. 그 밖에 재생에너지 확대(43.9%), 환경교육 강화(42.0%), 미세먼지 저감(41.3%), 생태계 보전(40.7%) 순으로 집계됐다.

환경재단은 이와 같은 응답 결과는 미래세대가 일상에서 체감하는 환경 문제에 적극적 정책 해결책을 요구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또 미래세대가 재생에너지, 생물다양성 등 여러 환경 문제에도 고른 관심을 보이며 기후위기 인식이 폭넓고 깊게 형성돼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미래세대의 기후위기 인식은 높으나 학교나 사회에서 체감하는 환경교육은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설문조사 응답자 가운데 74.3%는 환경교육이 부족하거나 접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고 답했다. 특히 중학교, 고등학교로 올라가며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입시 중심 교육과정으로 인해 환경교육을 접하기 더 어려워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재단은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이 기후위기 최전선에 놓인 우리 이야기를 차기 대통령이 진지하게 들어주기를 바랐다"며 "기후위기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수업이 꼭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고 전했다.

최열 환경재단 이사장은 "이번 조사는 어린이와 청소년이 기후위기 심각성을 또렷하게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강한 의지를 보여줬다"며 "폭염, 가뭄, 산불 등 앞으로 더욱 심각한 기후 영향을 겪게 될 미래세대가 이제 침묵을 거두고 변화의 주체로 나서고 있는 만큼 정책결정권자들도 이들의 목소리에 실질적 행동으로 응답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손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