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하이트진로가 올해 수익성 개선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류은애 KB증권 연구원은 16일 “소주의 경우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시장 침체가 상반기까지 지속되겠지만 하이트진로는 시장점유율 1위 지위를 바탕으로 시장에서 선방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하이트진로는 28일부터 맥주 제품의 출고가를 평균 2.7% 인상하기로 했다. 주요 원부자재의 추가적인 가격 상승 가능성이 제한적인 가운데 가격 인상을 결정한 점이 긍정적인 것으로 파악됐다.
가수요에 따라 4월 맥주 출고량은 약 20% 성장한 것으로 추정됐다.
류은애 연구원은 “2025년 하이트진로 주가의 동인은 1분기 실적에서 확인된 비용 통제 효과의 지속 및 확대 가능성”이라며 “내수 소비 심리 회복도 관전 포인트”라고 봤다.
하이트진로는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6128억 원, 영업이익 627억 원을 냈다. 2024년 1분기보다 매출은 1.3% 줄었으나 영업이익은 29.7% 늘었다. 영업이익 기준으로 시장 기대치(컨센서스)를 20.0% 상회한 것으로 수익성 개선세를 유지했다.
비용 효율화의 덕이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연결기준 매출 대비 광고선전비 비중은 2024년 1분기 7.5%에서 1분기 4.9%까지 하락했다.
류 연구원은 이날 하이트진로 목표주가를 기존 2만7천 원으로, 투자의견을 기존 매수(BUY)로 유지했다.
15일 하이트진로 주가는 1만9290원에 장을 마감했다. 남희헌 기자
류은애 KB증권 연구원은 16일 “소주의 경우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시장 침체가 상반기까지 지속되겠지만 하이트진로는 시장점유율 1위 지위를 바탕으로 시장에서 선방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 하이트진로가 올해 수익성 개선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서울 강남구 청담동 하이트진로 본사 사옥. <하이트진로>
하이트진로는 28일부터 맥주 제품의 출고가를 평균 2.7% 인상하기로 했다. 주요 원부자재의 추가적인 가격 상승 가능성이 제한적인 가운데 가격 인상을 결정한 점이 긍정적인 것으로 파악됐다.
가수요에 따라 4월 맥주 출고량은 약 20% 성장한 것으로 추정됐다.
류은애 연구원은 “2025년 하이트진로 주가의 동인은 1분기 실적에서 확인된 비용 통제 효과의 지속 및 확대 가능성”이라며 “내수 소비 심리 회복도 관전 포인트”라고 봤다.
하이트진로는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6128억 원, 영업이익 627억 원을 냈다. 2024년 1분기보다 매출은 1.3% 줄었으나 영업이익은 29.7% 늘었다. 영업이익 기준으로 시장 기대치(컨센서스)를 20.0% 상회한 것으로 수익성 개선세를 유지했다.
비용 효율화의 덕이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연결기준 매출 대비 광고선전비 비중은 2024년 1분기 7.5%에서 1분기 4.9%까지 하락했다.
류 연구원은 이날 하이트진로 목표주가를 기존 2만7천 원으로, 투자의견을 기존 매수(BUY)로 유지했다.
15일 하이트진로 주가는 1만9290원에 장을 마감했다.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