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화그룹 필리조선소의 LNG운반선 건조 가능성이 제기됐으나, 단기적으로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분석이 나왔다.
필리조선소는 미국 필라델피아에 위치한 조선소로 지난해 12월 한화시스템과 한화오션 등의 계열사가 총액 1억 달러에 인수한 곳이다.
앞서 블룸버그는 현지시각 22일 LNG 수출물량 일부를 미국산 선박으로 운송하도록 규정한 미국 무역대표부의 중국 조선업 제재안을 근거로 한화가 필리조선소에서 LNG운반선을 건조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했다.
오지훈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23일 “이같은 계획은 단기 실현 가능성이 낮다”며 “다만 장기 방향성엔 동의한다”고 말했다.
그는 근거로 △까다로운 ‘미국산 선박’ 요건 △미국 조선업의 낮은 생산성 △LNG운반선 건조 이력 부재 등을 들었다.
무역대표부 제재안에서 규정한 ‘미국산 선박’은 미국에서 건조되고, 미국 기국(선박의 법적 소속국) 소속이고, 주요 기자재 10개 품목이 미국에서 제조돼야 한다.
그는 “미국은 LNG운반선 건조 이력이 없으며, 기자재 공급망 가치사슬이 현지에 미비할 가능성이 높다”면서도 “한국의 LNG운반선 기술을 바탕으로 현지에 적합한 투자가 이뤄진다면 불가능한 건 아니다”고 했다.
필리조선소는 3600TEU(1TEU는 대각선 길이 6.1m의 1개 컨테이너)급 컨테이너선을 1척당 3억3300만 달러에 수주했다. 현재 글로벌 신조 선가 5100만 달러의 6배가 넘는 수준이다.
그는 “미국 조선업은 생산성이 낮아 글로벌 신조 선가보다 6배 비싼 가격에 선박을 수주 중”이라며 “다만 제재안은 미국의 의지이기 때문에 향후 해외투자 유치를 위한 세제 혜택, 보조금 지급 등의 지원을 조심스레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다만 필리조선소가 미국 내 LNG운반선 건조 시장을 선도할 수 있다는 관측을 내놓았다.
그는 “미국은 LNG운반선 건조 이력이 없기에, 필리조선소가 선도자로 시장에 접근한다면 미국산 LNG운반선의 가치사슬을 모두 독점해 압도적 시장지위를 선점할 수 있다”며 “다만 그 과정이 매우 길고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신재희 기자
필리조선소는 미국 필라델피아에 위치한 조선소로 지난해 12월 한화시스템과 한화오션 등의 계열사가 총액 1억 달러에 인수한 곳이다.

▲ 오지훈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한화그룹 미국 필리조선소의 LNG운반선 건조 가능성과 관련해 단기적으로 실현 가능성이 낮다고 23일 분석했다. 사진은 필리조선소의 전경. <한화오션>
앞서 블룸버그는 현지시각 22일 LNG 수출물량 일부를 미국산 선박으로 운송하도록 규정한 미국 무역대표부의 중국 조선업 제재안을 근거로 한화가 필리조선소에서 LNG운반선을 건조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했다.
오지훈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23일 “이같은 계획은 단기 실현 가능성이 낮다”며 “다만 장기 방향성엔 동의한다”고 말했다.
그는 근거로 △까다로운 ‘미국산 선박’ 요건 △미국 조선업의 낮은 생산성 △LNG운반선 건조 이력 부재 등을 들었다.
무역대표부 제재안에서 규정한 ‘미국산 선박’은 미국에서 건조되고, 미국 기국(선박의 법적 소속국) 소속이고, 주요 기자재 10개 품목이 미국에서 제조돼야 한다.
그는 “미국은 LNG운반선 건조 이력이 없으며, 기자재 공급망 가치사슬이 현지에 미비할 가능성이 높다”면서도 “한국의 LNG운반선 기술을 바탕으로 현지에 적합한 투자가 이뤄진다면 불가능한 건 아니다”고 했다.
필리조선소는 3600TEU(1TEU는 대각선 길이 6.1m의 1개 컨테이너)급 컨테이너선을 1척당 3억3300만 달러에 수주했다. 현재 글로벌 신조 선가 5100만 달러의 6배가 넘는 수준이다.
그는 “미국 조선업은 생산성이 낮아 글로벌 신조 선가보다 6배 비싼 가격에 선박을 수주 중”이라며 “다만 제재안은 미국의 의지이기 때문에 향후 해외투자 유치를 위한 세제 혜택, 보조금 지급 등의 지원을 조심스레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다만 필리조선소가 미국 내 LNG운반선 건조 시장을 선도할 수 있다는 관측을 내놓았다.
그는 “미국은 LNG운반선 건조 이력이 없기에, 필리조선소가 선도자로 시장에 접근한다면 미국산 LNG운반선의 가치사슬을 모두 독점해 압도적 시장지위를 선점할 수 있다”며 “다만 그 과정이 매우 길고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