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 푸젠성 닝더시에 위치한 CATL 본사 사옥 및 제조 설비. 2024년 11월15일 항공사진으로 촬영했다. <연합뉴스>
중국 업체가 트럼프 관세에 대응해 미국으로 차량이나 배터리를 수출하지 않고도 특허 라이선스로 수수료를 챙길 수 있다는 관측도 제시됐다.
17일(현지시각) 닛케이아시아는 일본 씽크탱크 미쓰이물산연구소(MGSSI) 보고서를 인용해 “중국 CATL이 LG에너지솔루션을 추월해 특허 영향력 1위를 차지했다”고 보도했다.
MGSSI는 20곳 기업을 대상으로 전기차 관련 특허 인용 횟수나 유효기간을 기준으로 기술적 영향력을 가늠해 점수로 환산했다.
CATL과 LG에너지솔루션은 각각 2.7점과 2.6점을 받아 1위와 2위에 올랐다.
그 뒤로 3~5위 모두 화웨이와 BYD 등 중국 기업이 차지했다. 현대차는 1.6점으로 8위에 뽑혔다.
MGSSI는 “중국 전기차와 배터리 업체 특허 수준이 미국과 일본 등을 앞질렀다”고 바라봤다.
아울러 MGSSI는 CATL이나 BYD 등 중국 업체가 상대적으로 적은 특허 개수에도 큰 영향력을 갖췄다는 평가도 내렸다.
특허 개수 기준으로 보면 6135개를 보유한 토요타가 1위에 올랐다. 현대차와 BYD는 각각 2250개와 828개로 3위와 10위다.
이시구로 류스케 MGSSI 지식재산권부 선임은 “중국 전기차와 배터리 기업은 보유 특허 건수는 많지 않지만 출원할 특허를 신중하게 선별한다”고 분석했다.
중국 전기차 및 배터리 제조사가 영향력이 높은 특허를 앞세워 미국발 관세 여파를 줄일 수 있다는 관측도 제시됐다.
미국에 제조 공장을 짓지 않고 해외 업체에 지식재산권 라이선스만 제공해 특허 로열티를 받는 방식으로 관세 장벽의 영향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미국 포드에 라이선스 방식으로 배터리 기술을 공급하는 CATL 사례도 소개됐다.
류스케 선임은 “중국 전기차와 배터리 업체가 특허 라이선스 수수료를 확보할 상황이 조성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국내 기업 쪽은 강한 반론을 내놨다.
국내 유력 기업 관계자는 “일본 씽크탱트의 조사 대상 특허는 배터리 관련 특허가 아닌 전기차와 관련된 특허만 일부 선별한 것”이라며 “배터리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특허 쪽은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등 국내 배터리 업체의 특허 수 및 기술 경쟁력이 여전히 중국보다 우위에 있다”고 말했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