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현대자동차그룹은 현지시각 15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글로벌 수소 생태계 서밋 2025’에서 인도네시아 정부·국영 에너지기업 페르타미나 홀딩스와 함께 ‘인도네시아 W2H 수소 생태계 조성 프로젝트’ 실행 계획을 밝혔다.
인도네시아 수소협회(IIFHE)가 주최한 이번 행사에는 바흐릴 라하달리아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 장관을 비롯한 현지 정부 인사들이 대거 참가했고, 국가 차원 수소 로드맵이 공개됐다.
회사는 지난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IT·전자 전시회 CES 2024에서 인도네시아 서부 자바주에 유기성 폐기물을 수소로 전환하는 ‘자원순환형 수소 솔루션(W2H)’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W2H는 음식물 쓰레기, 하수 슬러지(하수 정화 과정에서 생긴 찌꺼기), 가축 분뇨 등 유기성 폐기물에서 발생한 메탄을 정제해 바이오가스를 만든 다음 수소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지역 내 수소 생산 거점 조성을 통해 수소 운반과 저장 비용을 줄이고 수소 자원 독립성을 높일 수 있다.
회사는 국내에서 충주시 음식물 바이오센터의 수소 생산 실증 사업, 청주시 공공하수처리장의 청정 수소 생산 시설 구축 사업 등 W2H 사업을 펼치고 있다.
회사는 이번 발표를 계기로 인도네시아 서부 자바주 반둥시 인근 사리묵티 매립지에서 추출된 바이오가스를 활용해 수소를 생산한다. 회사가 해외에서 유기성 폐기물로 수소를 생산하는 첫 실증 사업이다.
사리묵티 매립지는 반둥시에서 매일 발생하는 폐기물 약 1500톤 가운데 80%가 처리되는 곳이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대형 화재, 홍수, 산사태 등 자연재해가 빈번히 일어나는 지역이기도 하다.
회사는 매립지 개발 전문회사인 세진지엔이와 협력해 사리묵티 매립지에 흙을 덮어 자연재해를 예방하고, 흙을 덮은 매립지에서 추출한 바이오가스를 현대로템의 수소 개질기를 이용해 청정 수소로 변환시킬 계획을 세웠다.
이를 위해 매립지 개발을 위한 기술 타당성 조사를 끝냈고, 연내 관련 설비 착공을 목표로 서부 자바주와 협의하고 있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앞으로 회사는 제아이엔지, 한국기계전자시험연구원, 고등기술연구원 등 국내 기관·기업과 구성한 컨소시엄으로 인도네시아 현지에 한국 수소 관련 기술을 적용한다.
페르타미나 홀딩스가 제공한 부지에 2027년까지 수소 개질기 설치와 수소 충전소 구축을 끝내고, 페르타미나 홀딩스 측과 수소 운반·수소 모빌리티 활용 등 수소 밸류 체인 전 과정에 걸쳐 협력을 이어간다.
이번 사리묵티 매립지 활용을 통한 W2H 수소 생태계 조성 프로젝트는 현지에 청정 수소 생산 거점을 마련하는 것을 넘어 인도네시아 쓰레기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프로젝트는 국내에서 성공적으로 펼치고 있는 자원 순환형 수소 생산 실증 사업을 해외로 확장한 첫 사례”라며 “비정부기구(NGO) 굿네이버스와 협력해 식수 지원 등 매립지 인근 지역 사회를 위한 사회공헌 활동도 펼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솔 기자
인도네시아 수소협회(IIFHE)가 주최한 이번 행사에는 바흐릴 라하달리아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 장관을 비롯한 현지 정부 인사들이 대거 참가했고, 국가 차원 수소 로드맵이 공개됐다.

▲ 현대차그룹이 인도네시아 자바주 반둥시 인근 사리묵티 매립지에서 유기성 폐기물을 활용해 청정수소를 생산한다고 발표했다. 사진은 현대차그룹 인도네시아 생산공장 전경. <연합뉴스>
회사는 지난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IT·전자 전시회 CES 2024에서 인도네시아 서부 자바주에 유기성 폐기물을 수소로 전환하는 ‘자원순환형 수소 솔루션(W2H)’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W2H는 음식물 쓰레기, 하수 슬러지(하수 정화 과정에서 생긴 찌꺼기), 가축 분뇨 등 유기성 폐기물에서 발생한 메탄을 정제해 바이오가스를 만든 다음 수소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지역 내 수소 생산 거점 조성을 통해 수소 운반과 저장 비용을 줄이고 수소 자원 독립성을 높일 수 있다.
회사는 국내에서 충주시 음식물 바이오센터의 수소 생산 실증 사업, 청주시 공공하수처리장의 청정 수소 생산 시설 구축 사업 등 W2H 사업을 펼치고 있다.
회사는 이번 발표를 계기로 인도네시아 서부 자바주 반둥시 인근 사리묵티 매립지에서 추출된 바이오가스를 활용해 수소를 생산한다. 회사가 해외에서 유기성 폐기물로 수소를 생산하는 첫 실증 사업이다.
사리묵티 매립지는 반둥시에서 매일 발생하는 폐기물 약 1500톤 가운데 80%가 처리되는 곳이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대형 화재, 홍수, 산사태 등 자연재해가 빈번히 일어나는 지역이기도 하다.
회사는 매립지 개발 전문회사인 세진지엔이와 협력해 사리묵티 매립지에 흙을 덮어 자연재해를 예방하고, 흙을 덮은 매립지에서 추출한 바이오가스를 현대로템의 수소 개질기를 이용해 청정 수소로 변환시킬 계획을 세웠다.
이를 위해 매립지 개발을 위한 기술 타당성 조사를 끝냈고, 연내 관련 설비 착공을 목표로 서부 자바주와 협의하고 있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앞으로 회사는 제아이엔지, 한국기계전자시험연구원, 고등기술연구원 등 국내 기관·기업과 구성한 컨소시엄으로 인도네시아 현지에 한국 수소 관련 기술을 적용한다.
페르타미나 홀딩스가 제공한 부지에 2027년까지 수소 개질기 설치와 수소 충전소 구축을 끝내고, 페르타미나 홀딩스 측과 수소 운반·수소 모빌리티 활용 등 수소 밸류 체인 전 과정에 걸쳐 협력을 이어간다.
이번 사리묵티 매립지 활용을 통한 W2H 수소 생태계 조성 프로젝트는 현지에 청정 수소 생산 거점을 마련하는 것을 넘어 인도네시아 쓰레기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프로젝트는 국내에서 성공적으로 펼치고 있는 자원 순환형 수소 생산 실증 사업을 해외로 확장한 첫 사례”라며 “비정부기구(NGO) 굿네이버스와 협력해 식수 지원 등 매립지 인근 지역 사회를 위한 사회공헌 활동도 펼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