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셀리드가 코로나19 백신 등의 개발에 필요한 자금을 모집하기 위해 유상증자에 나섰다.
셀리드는 16일 이사회를 열어 주주우선공모 방식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주당 6290원에 신주 635만9300주를 발행해 400억 원을 조달하기로 했다. 이날 셀리드 주가는 8060원에 거래를 마쳤다.
셀리드는 모집한 자금을 모두 연구개발비로 사용한다.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백신 ‘AdCLD-CoV19-1 OMI’ 개발에 327억 원이 투입된다.
AdCLD-CoV19-1 OMI는 앞서 임상1/2상을 통해 안정성과 면역원성이 확인됐다. 셀리드는 임상1/2상 중간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최소 4천 명 규모 글로벌 임상3상을 추진하기로 했다.
나머지 자금은 인유두종 바이러스(HPV)로 인한 암 치료백신 ‘BVAC-C’, 두경부암 자가세포치료제 ‘BVAC-E6E7’, 차세대 코로나19 다가백신 등의 개발에 사용된다.
셀리드는 이번 유상증자에서 먼저 구주주에 신주를 100% 배정한다. 청약한 구주주는 구주 1주당 신주 0.6534965090주를 받을 수 있다. 청약 결과 발생한 실권주 및 단수주는 일반공모를 받는다.
구주주 청약은 8월31일~9월1일, 일반공모 청약은 9월5일~6일 진행될 것으로 예정됐다. 납입 예정일은 9월8일이다. 임한솔 기자
셀리드는 16일 이사회를 열어 주주우선공모 방식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 셀리드가 유상증자로 400억 원을 조달해 코로나19 백신 개발 등에 사용하기로 했다.
주당 6290원에 신주 635만9300주를 발행해 400억 원을 조달하기로 했다. 이날 셀리드 주가는 8060원에 거래를 마쳤다.
셀리드는 모집한 자금을 모두 연구개발비로 사용한다.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백신 ‘AdCLD-CoV19-1 OMI’ 개발에 327억 원이 투입된다.
AdCLD-CoV19-1 OMI는 앞서 임상1/2상을 통해 안정성과 면역원성이 확인됐다. 셀리드는 임상1/2상 중간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최소 4천 명 규모 글로벌 임상3상을 추진하기로 했다.
나머지 자금은 인유두종 바이러스(HPV)로 인한 암 치료백신 ‘BVAC-C’, 두경부암 자가세포치료제 ‘BVAC-E6E7’, 차세대 코로나19 다가백신 등의 개발에 사용된다.
셀리드는 이번 유상증자에서 먼저 구주주에 신주를 100% 배정한다. 청약한 구주주는 구주 1주당 신주 0.6534965090주를 받을 수 있다. 청약 결과 발생한 실권주 및 단수주는 일반공모를 받는다.
구주주 청약은 8월31일~9월1일, 일반공모 청약은 9월5일~6일 진행될 것으로 예정됐다. 납입 예정일은 9월8일이다.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