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김동관 한화큐셀 전무(오른쪽)과 김동원 한화큐셀 부실장(왼쪽)이 20일 스위스 다보스에서 짜오하이샨 텐진시 부시장을 만나 악수하고 있다. |
한화그룹 후계자들이 다보스포럼에서 글로벌 경영보폭을 넓히고 있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장남인 김동관 한화큐셀 전무는 7년째 다보스포럼에 참석하고 있는데 이번에는 차남 김동원 한화생명 부실장도 처음으로 함께 해 국제무대에 이름을 올렸다.
김동관 전무는 22일 스위스 다보스포럼에서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가 개최한 GGGI포럼에 참가해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토론했다.
이 포럼에서 이보 드 보어 GGGI 의장과 줄리안 크리츨로우 베인앤컴퍼니 파트너가 주제발표를 했다. 김 전무를 포함해 김상협 카이스트 교수와 독일, 인도네시아, 한국의 에너지정책담당 공무원들이 패널로 참여했다.
김 전무는 21일 스위스 다보스포럼에서 열린 ‘저탄소 경제’ 세션에도 공식패널로 참석했다.
김 전무는 엘 고어 전 미국 부통령이 주관한 이번 세션에서 장 피에르 클라마듀 솔베이 CEO, 캐서린 맥키나 캐나다 연방 환경부 장관 등과 함께 ‘기술 혁신을 통한 저탄소 전략의 규모 확대 방안’ 등을 놓고 의견을 나눴다.
김 전무는 2010년 이후 7년 연속으로 다보스포럼을 방문했다. 김 전무는 다보스포럼에서 태양광산업의 중요성과 성장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전파하며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김 전무는 지난해 미국 폭스TV와 인터뷰에서 “유가하락이 태양광 시장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말했다. 김 전무의 말처럼 지난 1년 동안 저유가 상황은 심화했지만 태양광 시장은 꾸준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김 전무는 올해도 “전 세계 탄소배출량 가운데 중국과 미국, 인도가 차지하는 비중이 50%가 넘는다”며 “향후 신재생 에너지 및 친환경 태양광 사업의 전망은 밝다”고 강조했다.
김동원 한화생명 전사혁신실 부실장은 올해 처음으로 다보스포럼에 참가해 국제무대에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김동관 전무가 태양광에 집중하는 것처럼 김 전무는 핀테크와 스타트업분야에 집중하고 있다.
김 부실장은 20일 존 할트혼 매스챌린지 CEO를 만나 스타트업 육성체계에 대해 논의했다. 매스챌린지는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창업 경진대회로 ‘스타트업 올림픽’이라고 불린다.
김 부실장은 “한화그룹의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고, 우리나라 스타트업 시장을 세계시장과 연결하는 가교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부실장은 21일 차남규 한화생명 사장과 함께 폴 만듀카 영국 푸르덴셜 보험 회장을 만나 글로벌 경제전망과 금융산업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금융산업에서 주목받는 핀테크분야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김 부실장은 다보스포럼에서 브라이언 포드 전 미국 백악관 모바일·디지털 자문역, 존 리아디 인도네시아 리포그룹 전무 등을 만나며 바쁜 일정을 소화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