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자금시장 경색 분위기를 놓고 정부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재명 대표는 6일 페이스북에 "'김진태 발 금융위기'에 더해 최근 흥국생명의 '콜옵션 포기'로 자금시장이 더욱 얼어붙으며 기업들의 유동성 위기가 현실화되고 있다"며 "정부 당국의 종합적 대책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앞서 흥국생명은 11월9일 조기상환일이 도래하는 신종자본증권(영구채) 5억 달러(약 7080억 원)의 콜옵션 행사를 연기하기로 했다. 이 채권의 만기는 30년이지만 국내 금융사들은 5년째에 콜옵션을 행사해 조기상환하는 관행이 있다.
흥국생명이 콜옵션을 행사하지 않으면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할 당시 금리 4.475%의 이자율이 약 6.7~6.75%로 오른다. 반면 기존 신종자본증권 차환을 위해 새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하려면 연 12% 수준의 금리를 감당해야 했다.
이 대표는 "흥국생명의 콜옵션 포기는 기업 입장에선 합리적 선택이나 5년 지나면 돈을 갚을 것이라는 신뢰가 깨졌다는 점에서 채권 시장 전반에 불똥이 뛸 소지가 다분하다"며 "당장 내년에 만기가 돌아오는 외화채권 규모가 35조 원에 이른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연쇄 부도 상황을 전제하고 어디가 어떻게 무너질지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반복적 위기의 징조와 신호에도 '별 일 없을 것'이라던 정부의 안이한 대처와 늦장대응이 과거 IMF(국제통화기금) 국난을 야기했음을 기억해야 한다"고 말했다.
자금시장 경색이 경제 위기때문에 벌어졌다고 바라봤다.
이 대표는 "지금 벌어지고 있는 자금시장 경색은 금리, 물가, 환율 등 여러 경제 상황이 얽혀 발생한 복합위기의 한 단면"이라며 "당장 흥국생명의 콜옵션 포기는 금리 인상과 채권금리 상승의 영향이 크다"고 진단했다.
이어 "한국은행은 물가를 잡겠다며 금리를 올리는데, 정부는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일관성 없는 정책으로는 단기적 대책 이상을 넘어설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이 대표는 "거듭 말씀드리지만 민주당은 민생 회복을 위해 할 수 있는 한 최대한의 협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정부는 부디 '경제 올인' 국정으로 위기 극복에 머리를 맞대달라"고 말했다. 김남형 기자
이재명 대표는 6일 페이스북에 "'김진태 발 금융위기'에 더해 최근 흥국생명의 '콜옵션 포기'로 자금시장이 더욱 얼어붙으며 기업들의 유동성 위기가 현실화되고 있다"며 "정부 당국의 종합적 대책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앞서 흥국생명은 11월9일 조기상환일이 도래하는 신종자본증권(영구채) 5억 달러(약 7080억 원)의 콜옵션 행사를 연기하기로 했다. 이 채권의 만기는 30년이지만 국내 금융사들은 5년째에 콜옵션을 행사해 조기상환하는 관행이 있다.
흥국생명이 콜옵션을 행사하지 않으면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할 당시 금리 4.475%의 이자율이 약 6.7~6.75%로 오른다. 반면 기존 신종자본증권 차환을 위해 새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하려면 연 12% 수준의 금리를 감당해야 했다.
이 대표는 "흥국생명의 콜옵션 포기는 기업 입장에선 합리적 선택이나 5년 지나면 돈을 갚을 것이라는 신뢰가 깨졌다는 점에서 채권 시장 전반에 불똥이 뛸 소지가 다분하다"며 "당장 내년에 만기가 돌아오는 외화채권 규모가 35조 원에 이른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연쇄 부도 상황을 전제하고 어디가 어떻게 무너질지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반복적 위기의 징조와 신호에도 '별 일 없을 것'이라던 정부의 안이한 대처와 늦장대응이 과거 IMF(국제통화기금) 국난을 야기했음을 기억해야 한다"고 말했다.
자금시장 경색이 경제 위기때문에 벌어졌다고 바라봤다.
이 대표는 "지금 벌어지고 있는 자금시장 경색은 금리, 물가, 환율 등 여러 경제 상황이 얽혀 발생한 복합위기의 한 단면"이라며 "당장 흥국생명의 콜옵션 포기는 금리 인상과 채권금리 상승의 영향이 크다"고 진단했다.
이어 "한국은행은 물가를 잡겠다며 금리를 올리는데, 정부는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일관성 없는 정책으로는 단기적 대책 이상을 넘어설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이 대표는 "거듭 말씀드리지만 민주당은 민생 회복을 위해 할 수 있는 한 최대한의 협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정부는 부디 '경제 올인' 국정으로 위기 극복에 머리를 맞대달라"고 말했다. 김남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