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상원의원, 아이폰 수입관세 완화 관련 애플에 '트럼프와 거래했는지' 공개 요구

▲ 팀 쿡 애플 CEO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모종의 거래를 통해 중국에서 제조되는 아이폰 등 제품의 관세 완화를 이끌었다는 의혹이 미국 민주당 상원의원으로부터 제기됐다. 팀 쿡 애플 CEO.

[비즈니스포스트] 미국 민주당 상원의원이 팀 쿡 애플 CEO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거래 조건을 공개하도록 요구하는 내용의 서한을 보냈다.

애플 아이폰에 부과하는 중국산 제품 수입관세가 완화된 것은 애플과 트럼프 정부 사이에 모종의 거래가 이뤄진 결과라는 의혹을 제기한 셈이다.

블룸버그는 24일 “엘리자베스 워런 미국 민주당 상원의원이 애플에 트럼프 정부의 특혜를 받았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내용의 서한을 전했다”고 보도했다.

워런 의원은 애플이 중국산 제품 수입관세 부과 대상에서 사실상 제외된 것은 대기업의 영향력을 남용한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 트럼프 정부는 중국산 수입품에 적용하는 관세율을 145%까지 높여 내놓았다. 자연히 중국 공장에서 아이폰 등 제품을 대부분 생산하는 애플에 큰 타격이 예상됐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돌연 반도체가 포함되는 전자제품은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밝히며 아이폰에 적용되는 수입관세도 대폭 낮아졌다.

워런 의원은 이러한 상황이 부적절하다고 비판하며 애플이 막대한 자금과 영향력을 이용해 관세 면제 혜택을 받은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팀 쿡 CEO와 트럼프 대통령 사이 면담이 관세 정책과 관련되어 있는지, 또한 애플이 이런 내용을 사전에 파악하고 논의에 참여했는지 여부를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애플이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 100만 달러(약 14억3천만 원)를 기부하고 팀 쿡 CEO가 직접 참석한 점도 의문을 불러일으킨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워런 의원은 대기업들이 트럼프 정부에서 특혜를 보는 상황은 과거 1기 정부에서도 이어져 왔다고 덧붙였다.

애플은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에 시행된 중국산 수입품 관세 부과 정책에도 면제권을 획득한 적이 있다.

블룸버그는 다만 트럼프 정부가 전자제품에도 수입관세 부과 계획을 곧 밝힐 것이라고 예고했다며 애플도 다시금 영향권에 놓일 수 있다고 바라봤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