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 정부의 희토류 수출 통제가 전 세계 자동차 공급망에 차질을 일으키며 중국 기업들의 지배력이 더욱 높아질 가능성이 제시됐다. 중국 BYD 전기차 사진.
자동차와 핵심 부품 생산에 필수로 쓰이는 소재 공급 부족이 본격화되며 생산 차질로 이어져 중국 기업들이 반사이익을 거둘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21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 보도를 보면 중국의 희토류 수출 규제 효과가 수 개월 안에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 전반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전망이 제시됐다.
중국은 최근 미국 트럼프 정부가 수입관세율을 최고 145%까지 인상한 데 대응해 7종의 희토류 소재를 수출 통제 대상에 포함하는 무역보복 조치를 결정했다.
해당 소재들은 전기차와 풍력발전 터빈, 전투기 등을 생산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중국이 수출 규제를 지속한다면 앞으로 3~6개월 안에 전 세계에서 비축해 둔 희토류 물량이 사실상 바닥날 수도 있다는 예측을 전했다.
중국이 이번에 통제 대상에 포함한 희토류 생산 및 공급량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다수의 소재가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에 필수인 모터와 변속기, 로터 등 핵심 부품에 주로 쓰이고 있어 관련 산업에 큰 변수로 떠올랐다.
독일 광물 거래업체 트라디움 관계자는 “희토류 고객사들이 예고 없이 수급이 중단될 위기에 처했다”며 “수 개월 안에 자동차 공급망에 큰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고 전했다.
테슬라도 중국 정부의 무역보복 조치에 직격타를 받을 수 있다는 관측이 이어졌다.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는 미국과 관세율 인상 대결을 이어가는 대신 실질적 타격을 입힐 수 있는 방안을 시행하기로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분석도 나왔다.
더구나 중국의 규제는 단지 미국을 겨냥한 것이 아니라 전 세계 모든 국가에 수출하는 희토류를 대상으로 적용되는 만큼 여러 국가에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중국은 그동안 자국 경제에 미칠 타격을 우려해 수출 통제를 자제해 왔지만 이제는 공급망에 큰 혼란이 불가피해졌다”고 보도했다.
이러한 규제는 중국 전기차 및 관련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지배력을 더 높이는 효과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
중국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 배터리 업체들은 이미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고 있는데 다른 국가 기업들의 생산 차질이 이어지면 수출을 확대할 기회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BYD와 CATL 등 해외 수출과 고객사 확보를 적극 추진하고 있던 기업들이 중국 정부의 희토류 수출 통제에 새로운 성장 기회를 맞이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다만 미국과 중국 정부의 무역 협상, 중국 경제에 미칠 악영향 범위 등이 이번에 발표된 수출 규제의 지속가능성에 변수로 꼽히고 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