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AI 반도체 규제에 젠슨 황 '반기' 드나, 엔비디아 중국 포기 어렵다

▲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최근 중국을 방문한 것은 미국 트럼프 정부의 규제에도 중국 시장을 포기할 수 없다는 반발심이 반영된 행보라는 평가가 나온다.

[비즈니스포스트]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미국 트럼프 정부의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출규제 발표 직후 중국을 방문한 점을 두고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

엔비디아에 중국은 미국의 압박에도 절대 포기할 수 없는 시장이라는 점을 보여주는 한편 트럼프 정부 정책에 사실상 반기를 든 것이라는 관측도 제시된다.

대만 디지타임스는 21일 “젠슨 황이 중국을 방문하는 과감한 행보를 보였다”며 “미국 정부의 압박에도 중국이 그만큼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보도했다.

젠슨 황은 트럼프 정부가 엔비디아 H20을 비롯한 인공지능 반도체를 중국에 허가 없이 수출하지 못하도록 규제한 직후 직접 중국을 찾았다.

디지타임스는 젠슨 황이 미국의 강력한 견제에도 엔비디아와 중국 사이 협력을 지속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셈이라고 분석했다.

젠슨 황이 미국과 중국 정부 사이의 무역 협상을 원활하게 이끄는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관측도 일각에서 제시됐다.

그러나 디지타임스는 그의 성향을 고려할 때 중국을 방문한 것은 어느 정도 리스크를 감수하고 트럼프 정부에 사실상 반기를 든 것이라는 해석을 내놓았다.

엔비디아의 중장기 사업 전략과 미래를 고려할 때 미국의 규제로 중국 시장을 사실상 포기하는 일은 불가능하다는 판단이 반영되었다는 것이다.

젠슨 황이 바이든 정부 시절에도 엔비디아 반도체 대중국 수출규제를 놓고 강한 목소리로 비판을 내놓았다는 점이 근거로 꼽혔다.

당시 그는 “미국의 제약으로 엔비디아의 손발이 묶였다”며 이는 미국의 기술 경쟁력을 해칠 수밖에 없는 잘못된 판단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AI 반도체 규제에 젠슨 황 '반기' 드나, 엔비디아 중국 포기 어렵다

▲ 엔비디아와 중국 딥시크 로고.

다만 디지타임스는 트럼프 정부 정책이 더 예측불가능한 만큼 젠슨 황과 엔비디아가 이전보다 더 어려운 처지에 놓일 수 있다고 전했다.

엔비디아는 트럼프 정부가 인공지능 반도체 중국 수출규제 방안을 발표한 뒤 이를 충실히 따르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그러나 젠슨 황은 중국을 방문해 정부 당국 관계자를 만나 협력 방안과 꾸준한 사업 확장 계획을 논의하는 등 이와 상반된 태도를 보였다.

디지타임스는 젠슨 황이 딥시크와 알리바바, 텐센트 등 중국 내 주요 고객사 경영진과 만났다는 소문도 전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정부 압박에도 이처럼 과감한 행보를 보일 수 있는 경영자는 젠슨 황밖에 없을 것이라는 평가도 이어졌다.

엔비디아는 공식적으로 전체 매출의 약 13%를 중국 시장에서 거두고 있었다. 그러나 여러 수출 경로를 고려하면 실제 비중은 33%에 가까울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됐다.

디지타임스는 엔비디아가 인공지능 반도체 시장에서 지배력을 놓칠 수 있다는 우려도 젠슨 황의 행보에 반영되어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화웨이를 비롯한 중국 반도체 기업들이 트럼프 정부 규제를 계기로 자체 기술력 강화에 속도를 내면 엔비디아 제품을 대체하는 기술을 상용화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디지타임스는 결국 “젠슨 황의 중국 방문은 현지 고객사들을 안심시키기 위한 목적”이라며 “중국 사업을 경쟁사에 넘겨줘서는 안 된다는 우려도 반영돼 있다”고 결론지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