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국수출입은행이 미국 관세 등 환경 변화로 어려움이 예상되는 수출기업을 돕기 위해 20조 원을 투입한다.
수출입은행은 미국 정부의 통상정책 변화 등에 따른 수출위기 대응을 위해 정책자금 약 20조 원을 지원한다고 11일 밝혔다.
수출입은행은 우선 한국 기업의 수출과 해외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위기대응 특별프로그램을 6조5천억 원 규모로 신설한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신용도가 낮고 대외환경 변화에 취약한 중소·중견기업에 금리를 최대 2%포인트 인하해주기로 했다. 수출입은행이 자체 비용으로 지원하는 종합 컨설팅서비스 규모도 기존 50억 원에서 100억 원으로 확대해 한국기업의 통상 대응과 신시장 개척 등을 지원한다.
또 고환율로 어려움을 겪는 수입기업을 위해 수입관련 대출에 통화전환옵션 제도를 확대 적용하기로 했다. 통화전환옵션은 중소·중견기업이 대출기간 중 최대 2회까지 대출통화를 원화에서 외화로, 외화에서 기타 외화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다.
수출입은행은 이밖에도 석유화학, 철강 등 기간산업 관련 기업에 유동성 10조 원을 공급한다. 대기업과 함께 해외시장에 진출했거나 해외진출 대기업에 납품하는 중소·중션기업에는 상생금융 3조 원 규모를 지원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수출다변화 기업에는 금리 인센티브와 더불어 약 1조 원의 지원금융을 제공하고 미래 신산업 육성과 기존 주력산업 관련 기업의 고부가·친환경 전환을 위한 연구개발 대출한도도 확대한다.
수출입은행 관계자는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 주요국과 경쟁심화 등 복합적 경제·산업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적시에 과감한 정책적 지원을 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며 “한국 기업이 대외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박혜린 기자
수출입은행은 미국 정부의 통상정책 변화 등에 따른 수출위기 대응을 위해 정책자금 약 20조 원을 지원한다고 11일 밝혔다.

▲ 한국수출입은행이 미국 관세정책 등 대내외 환경변화 대응을 위해 정책자금 약 20조 원을 지원한다.
수출입은행은 우선 한국 기업의 수출과 해외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위기대응 특별프로그램을 6조5천억 원 규모로 신설한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신용도가 낮고 대외환경 변화에 취약한 중소·중견기업에 금리를 최대 2%포인트 인하해주기로 했다. 수출입은행이 자체 비용으로 지원하는 종합 컨설팅서비스 규모도 기존 50억 원에서 100억 원으로 확대해 한국기업의 통상 대응과 신시장 개척 등을 지원한다.
또 고환율로 어려움을 겪는 수입기업을 위해 수입관련 대출에 통화전환옵션 제도를 확대 적용하기로 했다. 통화전환옵션은 중소·중견기업이 대출기간 중 최대 2회까지 대출통화를 원화에서 외화로, 외화에서 기타 외화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다.
수출입은행은 이밖에도 석유화학, 철강 등 기간산업 관련 기업에 유동성 10조 원을 공급한다. 대기업과 함께 해외시장에 진출했거나 해외진출 대기업에 납품하는 중소·중션기업에는 상생금융 3조 원 규모를 지원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수출다변화 기업에는 금리 인센티브와 더불어 약 1조 원의 지원금융을 제공하고 미래 신산업 육성과 기존 주력산업 관련 기업의 고부가·친환경 전환을 위한 연구개발 대출한도도 확대한다.
수출입은행 관계자는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 주요국과 경쟁심화 등 복합적 경제·산업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적시에 과감한 정책적 지원을 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며 “한국 기업이 대외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