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중국 관세 인상 발표는 현실성이 낮은 정책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미국 경제에 인플레이션 심화와 고용시장 악화 등 큰 부작용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애플을 비롯한 다수의 미국 기업이 중국에 제품 공급망을 의존하는 만큼 이는 미국의 물가 상승과 고용시장 악화를 이끄는 역효과를 낳을 공산이 크다는 것이다.
투자전문가 짐 크레이머는 11일 미국 CNBC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중국 관세는 사실상 통상금지 조치에 가깝다”고 전했다.
트럼프 정부는 중국에 145% 수입관세 부과를 발표했는데 대부분의 미국 기업은 이러한 극단적 조치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짐 크레이머는 트럼프 정부 관세 조치에 깔린 의도는 충분히 이해할 수 있지만 미국 제조업 회복이라는 목표를 단기간에 이뤄내기는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미국 경제가 중국의 공급망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시점에서 고율 관세로 교역이 단절되면 심각한 역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전망도 이어졌다.
짐 크레이머는 “미국은 물가 상승과 인플레이션 심화, 고용시장 악화 및 다른 국가에 의존 등 부작용을 안게 될 것”이라며 “값비싼 비용을 치러야 하는 셈”이라고 말했다.
결국 트럼프 정부의 대중국 관세 정책은 큰 경제적 혼란을 불러올 것이라는 관측이 제시됐다.
애플은 미국에서 판매하는 아이폰을 비롯한 대부분의 제품을 중국에서 제조해 수입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조치에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기업으로 꼽힌다.
짐 크레이머는 미국이 더 나아가 컴퓨터와 스마트폰, 게임과 배터리, 가구와 플라스틱, 완구와 스포츠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피해를 입게 될 수 있다고 전했다.
그는 “미국이 트럼프 정부의 관세 후폭풍에서 살아남을 수는 있겠지만 상당한 혼돈과 인플레이션을 겪어야만 할 것”이라며 “단기간에 대안을 마련하는 일은 현실성이 없다”고 덧붙였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관세 부과와 관련해 중국과 논의 가능성을 열어두며 “무역 협상을 성사시킬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