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2월 경상수지가 72억 달러 규모 흑자를 이어갔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2025년 2월 국제수지(잠정)’ 자료에 따르면 올해 2월 경상수지는 71억8천만 달러 흑자로 나타났다. 경상수지는 국가 사이 상품, 서비스, 수출입과 함께 자본, 노동 등 모든 경제적 거래를 합산한 통계를 말한다.
한국 경상수지는 2024년 4월 뒤 10개월째 흑자 기조를 지속하고 있다.
2월 경상수지를 세부항목별로 보면 수출과 수입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인 상품수지는 81억8천 만 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수출이 537억9천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6% 증가했다. 또 전달인 1월(-9.1%)과 비교해 한 달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통관기준 수출을 품목별로 보면 가전제품(-15.8%) 석유제품(-12.2%) 선박(-11.4%) 기계류·정밀기기(-3.9%) 자동차부품(-3.8%) 반도체(-2.5%) 철강제품(-2.3%) 화공품(-2.0%) 등은 감소했다.
반면 승용차(18.8%) 정보통신기기(17.5%) 전기·전자제품(0.6%) 등 품목은 수출이 늘었다.
지역별 수출현황을 보면 중동(19.8%) 동남아(9.2%) 미국(1.0%) 등으로 수출 증가세가 이어졌다. 유럽연합(-8.1%) 중남미(-6.3%) 일본(-4.8%) 중국(-1.4%) 등은 감소세를 보였다.
2월 수입은 456억1천만 달러로 1.3% 늘어났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원자재(-9.1%) 감소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소비재(11.7%)는 증가세로 전환했다. 자본재(9.3%) 수입도 늘어났다.
서비스수지는 여행, 기타사업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32억1천만 달러 적자를 냈다.
본원소득수지는 배당소득을 중심으로 26억2천만 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본원소득수지는 대외금융자산 및 부채와 관련된 배당, 이자 등의 투자소득과 근로소득인 급료 및 임금을 계상한 값이다.
거주자와 비거주자 사이 대가없이 이뤄진 무상원조, 증여성 송금 등 이전거래내역을 나타내는 이전소득수지는 4억1천만 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박혜린 기자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2025년 2월 국제수지(잠정)’ 자료에 따르면 올해 2월 경상수지는 71억8천만 달러 흑자로 나타났다. 경상수지는 국가 사이 상품, 서비스, 수출입과 함께 자본, 노동 등 모든 경제적 거래를 합산한 통계를 말한다.

▲ 2025년 2월 경상수지가 71억8천만 달러 흑자로 나타났다. 사진은 부산항 모습. <연합뉴스>
한국 경상수지는 2024년 4월 뒤 10개월째 흑자 기조를 지속하고 있다.
2월 경상수지를 세부항목별로 보면 수출과 수입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인 상품수지는 81억8천 만 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수출이 537억9천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6% 증가했다. 또 전달인 1월(-9.1%)과 비교해 한 달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통관기준 수출을 품목별로 보면 가전제품(-15.8%) 석유제품(-12.2%) 선박(-11.4%) 기계류·정밀기기(-3.9%) 자동차부품(-3.8%) 반도체(-2.5%) 철강제품(-2.3%) 화공품(-2.0%) 등은 감소했다.
반면 승용차(18.8%) 정보통신기기(17.5%) 전기·전자제품(0.6%) 등 품목은 수출이 늘었다.
지역별 수출현황을 보면 중동(19.8%) 동남아(9.2%) 미국(1.0%) 등으로 수출 증가세가 이어졌다. 유럽연합(-8.1%) 중남미(-6.3%) 일본(-4.8%) 중국(-1.4%) 등은 감소세를 보였다.
2월 수입은 456억1천만 달러로 1.3% 늘어났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원자재(-9.1%) 감소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소비재(11.7%)는 증가세로 전환했다. 자본재(9.3%) 수입도 늘어났다.
서비스수지는 여행, 기타사업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32억1천만 달러 적자를 냈다.
본원소득수지는 배당소득을 중심으로 26억2천만 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본원소득수지는 대외금융자산 및 부채와 관련된 배당, 이자 등의 투자소득과 근로소득인 급료 및 임금을 계상한 값이다.
거주자와 비거주자 사이 대가없이 이뤄진 무상원조, 증여성 송금 등 이전거래내역을 나타내는 이전소득수지는 4억1천만 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