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TV 주가가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주요 콘텐츠인 개인제작 동영상의 고객층이 구매력이 높은 중장년층으로 확대되면서 아프리카TV가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됐다.
이창영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1일 아프리카TV 목표주가를 8만 원,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아프리카TV 주가는 7월31일 5만860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이 연구원은 아프리카TV의 2분기 실적을 바탕으로 콘텐츠에 돈을 지불하려는 고객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파악했다.
그는 “현재 개인제작 동영상 콘텐츠가 미디어의 대세인 만큼 이에 기반한 광고와 기부모델 등을 고려하면 아프리카TV의 수혜가 지속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아프리카TV는 2분기에 매출 416억 원, 영업이익 96억 원을 올렸다. 2018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43.7%, 영업이익은 56.5% 늘어났다.
‘별풍선’으로 대표되는 기부경제선물 매출이 311억 원으로 집계돼 2018년 2분기보다 40% 증가했다. 분기별 증가폭을 살펴봐도 평균 12%로 비교적 높은 성장폭을 유지했다.
월간 방문자 수(MUV)는 660만 명, 1인당 월평균 지불금액(ARPPU)은 4만3501원으로 집계됐다. 2018년 2분기와 비교해 월간 방문자 수는 3.2%, 월평균 지불금액은 36% 증가했다.
이 연구원은 “아프리카TV 콘텐츠가 20~40대 남성 위주의 게임 중심에서 낚시와 당구 등 구매력 높은 중장년층으로 다양화되면서 1인당 월평균 지불금액이 급증했다고 추정된다”며 “기부경제선물 매출의 높은 성장률은 하반기에도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2분기 광고 매출도 62억 원으로 확인돼 2018년 같은 기간보다 66% 늘어났다. 펍지코리안리그(PKL)와 글로벌스타크래프트2 등 e스포츠 리그에 관련된 매출 증가가 반영됐다.
고객이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BJ에 기부할 수 있는 광고모델 ‘애드벌룬’도 10대 중심으로 성장폭을 확대하면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게임 BJ들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게임광고가 계속 늘어나고 있는 점도 호재로 꼽혔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
주요 콘텐츠인 개인제작 동영상의 고객층이 구매력이 높은 중장년층으로 확대되면서 아프리카TV가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됐다.

▲ 서수길 아프리카TV 각자대표이사.
이창영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1일 아프리카TV 목표주가를 8만 원,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아프리카TV 주가는 7월31일 5만860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이 연구원은 아프리카TV의 2분기 실적을 바탕으로 콘텐츠에 돈을 지불하려는 고객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파악했다.
그는 “현재 개인제작 동영상 콘텐츠가 미디어의 대세인 만큼 이에 기반한 광고와 기부모델 등을 고려하면 아프리카TV의 수혜가 지속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아프리카TV는 2분기에 매출 416억 원, 영업이익 96억 원을 올렸다. 2018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43.7%, 영업이익은 56.5% 늘어났다.
‘별풍선’으로 대표되는 기부경제선물 매출이 311억 원으로 집계돼 2018년 2분기보다 40% 증가했다. 분기별 증가폭을 살펴봐도 평균 12%로 비교적 높은 성장폭을 유지했다.
월간 방문자 수(MUV)는 660만 명, 1인당 월평균 지불금액(ARPPU)은 4만3501원으로 집계됐다. 2018년 2분기와 비교해 월간 방문자 수는 3.2%, 월평균 지불금액은 36% 증가했다.
이 연구원은 “아프리카TV 콘텐츠가 20~40대 남성 위주의 게임 중심에서 낚시와 당구 등 구매력 높은 중장년층으로 다양화되면서 1인당 월평균 지불금액이 급증했다고 추정된다”며 “기부경제선물 매출의 높은 성장률은 하반기에도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2분기 광고 매출도 62억 원으로 확인돼 2018년 같은 기간보다 66% 늘어났다. 펍지코리안리그(PKL)와 글로벌스타크래프트2 등 e스포츠 리그에 관련된 매출 증가가 반영됐다.
고객이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BJ에 기부할 수 있는 광고모델 ‘애드벌룬’도 10대 중심으로 성장폭을 확대하면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게임 BJ들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게임광고가 계속 늘어나고 있는 점도 호재로 꼽혔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