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지난해 파생결합증권 발행 잔액규모가 10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파악됐다.
홍콩 H지수 기초 주가연계증권(ELS) 사태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24년 파생결합증권 발행액은 73조6천억 원으로 2023년보다 5조3천억 원 줄었다. 상환액은 82조7천 원을 기록해 상환액이 발행액을 9조 원 넘게 웃돌았다.
지난해 파생결합증권 잔액은 81조6천억 원으로(2014년 84조1천억 원)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파생결합증권 가운데 ELS는 지난해 55조2천억 원 가량이 발행돼 2023년보다 7조6천억 원 감소했다.
원금지급형 ELS 비중은 70.9%를 차지해 2023년(51.2%)보다 크게 늘어났다.
이에 따라 원금비보장형 ELS는 1년 전 48.8%에서 29.1%까지 줄어들었다.
홍콩 H지수 기초 ELS 손실에 따른 투자수요 위축이 원인으로 꼽혔다.
금감원은 “판매직원이 ‘사실상 원금보장’이라고 설명하더라도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며 “파생결합증권은 예금자보호대상이 아니기에 발행사의 파산 등으로 채권자에게 지급할 돈이 부족하면 투자원금과 수익을 돌려받지 못하게 된다”고 경고했다. 박재용 기자
홍콩 H지수 기초 주가연계증권(ELS) 사태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 22일 금융감독원이 지난해 파생결합증권 발행 잔액규모가 10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24년 파생결합증권 발행액은 73조6천억 원으로 2023년보다 5조3천억 원 줄었다. 상환액은 82조7천 원을 기록해 상환액이 발행액을 9조 원 넘게 웃돌았다.
지난해 파생결합증권 잔액은 81조6천억 원으로(2014년 84조1천억 원)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파생결합증권 가운데 ELS는 지난해 55조2천억 원 가량이 발행돼 2023년보다 7조6천억 원 감소했다.
원금지급형 ELS 비중은 70.9%를 차지해 2023년(51.2%)보다 크게 늘어났다.
이에 따라 원금비보장형 ELS는 1년 전 48.8%에서 29.1%까지 줄어들었다.
홍콩 H지수 기초 ELS 손실에 따른 투자수요 위축이 원인으로 꼽혔다.
금감원은 “판매직원이 ‘사실상 원금보장’이라고 설명하더라도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며 “파생결합증권은 예금자보호대상이 아니기에 발행사의 파산 등으로 채권자에게 지급할 돈이 부족하면 투자원금과 수익을 돌려받지 못하게 된다”고 경고했다. 박재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