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CATL 미국 관세에도 홍콩 증시 상장 추진 강행, 일부 기업은 연기 전망 

▲ 2024년 12월18일 중국 푸젠성 샤먼시에서 열린 기업 행사에 CATL의 교환식 배터리를 실은 차량이 전시돼 있다. <연합뉴스>

[비즈니스포스트] 중국 배터리 기업 CATL이 미국발 관세에도 홍콩거래소 상장을 강행한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미국 관세 여파로 홍콩증시가 폭락해 공모가가 낮게 책정될 걸 우려하는 일부 중국 기업은 상장 일정을 미룰 것이라는 관측도 제시됐다. 

10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증권가 관계자 발언을 인용해 “CATL이 올해 2분기 홍콩 상장을 예정대로 추진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CATL은 2월11일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 신청서를 제출한 뒤 3월 증권 당국으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중국 본토 선전 증시에 이은 2차 상장이다. 

최근 ‘트럼프 관세 폭탄’으로 홍콩 항셍지수가 대폭 하락한 가운데 CATL 상장 계획에 변화가 없다는 보도가 나온 것이다. 

홍콩 항셍지수는 미국의 대 중국 고율관세 발표 뒤 7일 13.22% 폭락했다.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최대 낙폭이다. 이후 8일과 9일 각각 소폭 상승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CATL이 3개월 안으로 상장을 진행할 예정”이라며 “자금 조달 목표와 같은 세부 내역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금융업계는 CATL이 홍콩 상장으로 50억 달러(약 7조3천억 원)를 조달할 수 있다고 추정한다. 

홍콩 거래소에 기업공개(IPO)를 통한 상장 신청사 178곳 가운데 일부는 관세 불확실성에 대응해 계획을 늦출 것이라는 전망도 거론됐다. 

홍콩공인회계사협회의 에드워드 오 회장은 “2분기 IPO 자금 조달이 약화될 것”이라며 “가치평가에 악영향을 우려하는 기업은 관망세를 취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