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편의점 CU가 냉동 피자의 인기 상승에 발맞춰 다양한 맛의 냉동 피자를 출시한다.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은 냉동 간편식의 분류별 매출 비중을 분석한 결과 올해 1월부터 20일까지 냉동 피자 매출 비중이 28.1%를 기록하며 냉동 만두(27.2%)를 뛰어넘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냉동 피자의 매출 비중은 2021년 17.9%로 냉동 간편식 가운데 가장 낮았지만 2022년 19.1%, 2023년 22.2%, 2024년 24.3%로 꾸준히 증가했다. 매출 비중은 5년 사이 10.2%포인트 상승하며 올해 처음으로 20% 후반을 기록했다.
냉동 만두는 국내에 편의점이 생긴 1990년대 초창기부터 30여 년 동안 꾸준한 수요를 보이며 냉동 간편식 매출 1위를 지킨 제품이다. 하지만 매출 비중은 2021년 37.7%, 2022년 35.3%, 2023년 33.5%, 2024년 31.8%로 계속 줄어들다가 올해는 20%대까지 뒷걸음질했다.
CU는 밥 대신 간편한 식사를 찾는 1~2인 가구 수 증가에 따라 다양한 맛과 용량의 냉동 피자가 출시된 것을 편의점 냉동 피자 판매 증가의 이유로 꼽고 있다. 에어프라이어 등 새로운 조리 기구 보급도 냉동식품 수요를 다양화하는 데 한 몫을 했다고 CU는 분석했다.
최근에는 외식 물가와 배달비 인상 영향으로 편의점에서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 상품을 찾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어 냉동 피자의 강세가 앞으로도 꾸준히 이어질 것이라고 CU는 내다봤다.
CU도 4월 세계 여러 나라의 요리를 콘셉트로 냉동 피자 브랜드 ‘피자로드’를 내놓고 상품 2종을 출시했다. 앞으로도 미국과 일본 등 국가별 대표 메뉴를 활용한 다양한 맛의 피자를 출시하기로 했다.
최서희 BGF리테일 HMR팀 MD(상품기획자)는 “가까운 편의점에서 전문점 수준 피자를 손쉽게 맛볼 수 있다는 강점 때문에 냉동 피자의 인기가 날로 뜨거워지고 있다”며 “앞으로 CU는 기존 피자 전문점에서 맛볼 수 없었던 새로운 맛의 피자를 고객에게 주기적으로 선보이면서 피자로드만의 열성 팬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솔 기자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은 냉동 간편식의 분류별 매출 비중을 분석한 결과 올해 1월부터 20일까지 냉동 피자 매출 비중이 28.1%를 기록하며 냉동 만두(27.2%)를 뛰어넘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 CU가 새 냉동 피자 브랜드 '피자로드'를 선보인다.
냉동 피자의 매출 비중은 2021년 17.9%로 냉동 간편식 가운데 가장 낮았지만 2022년 19.1%, 2023년 22.2%, 2024년 24.3%로 꾸준히 증가했다. 매출 비중은 5년 사이 10.2%포인트 상승하며 올해 처음으로 20% 후반을 기록했다.
냉동 만두는 국내에 편의점이 생긴 1990년대 초창기부터 30여 년 동안 꾸준한 수요를 보이며 냉동 간편식 매출 1위를 지킨 제품이다. 하지만 매출 비중은 2021년 37.7%, 2022년 35.3%, 2023년 33.5%, 2024년 31.8%로 계속 줄어들다가 올해는 20%대까지 뒷걸음질했다.
CU는 밥 대신 간편한 식사를 찾는 1~2인 가구 수 증가에 따라 다양한 맛과 용량의 냉동 피자가 출시된 것을 편의점 냉동 피자 판매 증가의 이유로 꼽고 있다. 에어프라이어 등 새로운 조리 기구 보급도 냉동식품 수요를 다양화하는 데 한 몫을 했다고 CU는 분석했다.
최근에는 외식 물가와 배달비 인상 영향으로 편의점에서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 상품을 찾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어 냉동 피자의 강세가 앞으로도 꾸준히 이어질 것이라고 CU는 내다봤다.
CU도 4월 세계 여러 나라의 요리를 콘셉트로 냉동 피자 브랜드 ‘피자로드’를 내놓고 상품 2종을 출시했다. 앞으로도 미국과 일본 등 국가별 대표 메뉴를 활용한 다양한 맛의 피자를 출시하기로 했다.
최서희 BGF리테일 HMR팀 MD(상품기획자)는 “가까운 편의점에서 전문점 수준 피자를 손쉽게 맛볼 수 있다는 강점 때문에 냉동 피자의 인기가 날로 뜨거워지고 있다”며 “앞으로 CU는 기존 피자 전문점에서 맛볼 수 없었던 새로운 맛의 피자를 고객에게 주기적으로 선보이면서 피자로드만의 열성 팬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