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서유석 금융투자협회 회장이 현행 퇴직연금 제도의 개선점에 대해 언급했다.
서 회장은 10일 금융감독원이 주최한 ‘자산운용사 최고경영자(CEO) 간담회’에서 “퇴직연금에서 디폴트옵션(사전지정운용제도) 방식을 옵트인(필수 동의)에서 옵트아웃(추정 동의)로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원리금 보장 상품의 비율을 축소하는 등 제도 개선을 통해 연금 자산의 자본시장 유입을 촉진하겠다”면서 당국의 관심과 지원을 촉구했다.
서 회장은 현재 퇴직연금 시장 규모가 400조 원을 웃돌아도 원리금보장형 상품 비중이 90%가 넘어 장기 인플레이션에 대비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미국처럼 노후자금 상당수를 자본시장에 투자해 그 자금으로 성장한 기업의 과실을 공유하는 선순환 구조 구축을 위해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서 회장은 개입종합자산관리계좌(ISA) 납입한도와 비과세 대상 확대, 어린이용 ISA 도입 등이 필요하다고도 제언했다. 김태영 기자
서 회장은 10일 금융감독원이 주최한 ‘자산운용사 최고경영자(CEO) 간담회’에서 “퇴직연금에서 디폴트옵션(사전지정운용제도) 방식을 옵트인(필수 동의)에서 옵트아웃(추정 동의)로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이 디폴트옵션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원리금 보장 상품의 비율을 축소하는 등 제도 개선을 통해 연금 자산의 자본시장 유입을 촉진하겠다”면서 당국의 관심과 지원을 촉구했다.
서 회장은 현재 퇴직연금 시장 규모가 400조 원을 웃돌아도 원리금보장형 상품 비중이 90%가 넘어 장기 인플레이션에 대비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미국처럼 노후자금 상당수를 자본시장에 투자해 그 자금으로 성장한 기업의 과실을 공유하는 선순환 구조 구축을 위해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서 회장은 개입종합자산관리계좌(ISA) 납입한도와 비과세 대상 확대, 어린이용 ISA 도입 등이 필요하다고도 제언했다. 김태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