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서울시가 종묘, 창경궁 등 문화재에 인접한 서울도심 일대 개발을 추진한다.

서울시는 9일 개최한 제6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에서 ‘율곡로 지구단위계획 결정변경안’을 수정가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서울시 율곡로 지구단위계획변경안 수정가결, 도심 역사자산과 연계

▲ 서울시가 종묘, 창경궁 등 문화재에 인접한 서울도심 일대 개발을 추진한다. <서울시>


대상지는 대학로와 율곡로에 인접하며 남측으로 지하철 1호선 종로5가역과 1‧4호선 환승역인 동대문역이 입지하고 있어 대중교통 접근성이 양호한 지역으로 꼽힌다.

이번 지구단위계획 변경은 2008년 이후 17년 만에 지구단위계획을 재정비하는 것이다. 서울시는 지난해 개정된 지구단위계획 용적률 체계개편 사항과 2023년 서울도심기본계획 재정비에 따른 높이계획 체계 개선 사항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용적률 체계 개편사항에 따라 간선부 일반상업지역의 기준용적률은 400%에서 600%로, 허용용적률을 600%에서 660%로 상향 조정한다. 이면부 일반상업지역은 기준용적률을 400%에서 500%로, 허용용적률을 500%에서 550%로 확대됐다.

최고높이 계획은 기준높이 및 완화높이 체계로 전환한다.

서울시는 지역 활성화를 목표로 블록 단위로 설정된 최대 개발 규모 계획도 폐지한다. 공동개발 규제를 완화해 토지 소유자가 유연한 공동개발을 추진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종묘, 옛길, 옛물길 등 특화가로에 역사자산과 연계한 환경개선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역사문화도심 상징성을 강화하고 보행환경을 개선해 주민과 방문객의 편의를 높인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이번 율곡로 지구단위계획 재정비로 서울의 중심부임에도 다소 침체돼 있는 지역의 개발동력을 확보하기를 기대한다”며 “서울 도심의 위상에 걸맞는 활력을 되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경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