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매출 500대 기업 하반기 신규채용 계획. <한국경제인협회>
한국경제인협회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하여 매출액 500대 기업 인사담당자(응답 12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하반기 대졸 신규채용 계획 조사’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대기업 10곳 가운데 6곳(57.5%)은 올해 하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수립하지 못했거나, 채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채용계획 미수립 기업은 40.0%, 채용이 없는 기업은 17.5%였다.
2023년 하반기 조사와 비교하면 올해 하반기 채용이 없다고 응답한 기업(17.5%)은 0.9%포인트 증가했고, 채용계획 미정이라고 응답한 기업(40.0%)은 8.0%포인트 감소했다. 채용계획을 수립한 기업(42.5%)은 7.1%포인트 늘었다.
한경협은 “올해 하반기 채용계획을 수립한 기업 비중(42.5%)이 작년(35.4%)보다 늘어난 것은 최근 기업들이 수시채용을 확대하면서 대규모 인력을 정해진 기간에 뽑는 공개채용과 달리 채용시기‧규모 등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어 채용계획 수립 부담이 완화된 영향으로 해석된다”고 설명했다.
올해 하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수립한 기업(42.5%) 가운데 전년 대비 채용 규모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하겠다는 기업은 64.8%, 줄이겠다는 기업은 17.6%, 늘리겠다는 기업은 17.6%로 나타났다.
2023년 하반기 조사와 비교하면, 작년과 유사한 규모로 채용하겠다는 기업(64.8%)이 작년 대비 7.0%포인트 늘었고, 채용을 줄이겠다는 기업(17.6%)과 채용을 늘리겠다는 기업(17.6%)은 각각 6.8%포인트, 0.2%포인트 줄었다.
기업들은 신규채용을 하지 않거나 채용 규모를 늘리지 않겠다고 한 이유를 두고 수익성 악화․경영 불확실성 대응을 위한 긴축경영(23.8%)을 가장 많이 꼽았다. 그 뒤를 이어 글로벌 경기침체 장기화, 고금리·고환율 등으로 인한 경기부진(20.6%), 필요한 직무능력을 갖춘 인재 확보 어려움(17.5%) 순으로 응답했다.
신규채용을 늘리겠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그 이유로 경기 상황에 관계없이 미래 인재 확보 차원(55.6%)을 가장 많이 지목했다. 이어서 회사가 속한 업종의 경기상황 호전(22.2%), 신산업 또는 새로운 직군의 인력수요 증가(11.1%) 등을 꼽았다.
응답 기업 10곳 가운데 7곳(70.0%)은 대졸 신규채용에서 수시채용 방식을 활용하겠다고 답변했다.
기업들은 신규채용 관련 애로사항으로 ‘적합한 인재 확보의 어려움’(35.5%)을 가장 많이 꼽았다. 구체적으로 요구수준에 부합하는 인재 찾기 어려움(29.0%), 신산업‧신기술 등 과학기술 분야 인재 부족(6.5%)으로 나타났다.
인력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직군으로는 연구‧개발직(28.8%)을 가장 많이 지목했으며, 이어서 전문‧기술직(27.1%), 생산‧현장직(20%) 순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은 대졸 신규채용 증진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 개선과제로 규제 완화를 통한 기업 투자·고용 확대 유도(37.5%)를 꼽았다. 이어서 고용증가 기업 인센티브 확대(27.5%), 신산업 성장동력 분야 기업 지원(12.5%) 등을 답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하반기 세계경기 둔화 우려, 내수부진, 경기심리 악화 등 경영환경 악화로 기업들의 보수적인 채용이 예상된다”며 “신규채용 확대를 위해서는 이사의 충실의무 확대 등 기업경영의 불확실성을 가중시키는 입법 논의를 지양하고, 각종 지배구조‧진입규제를 완화함으로써 신산업 발굴과 기업투자‧고용 확대를 유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나병현 기자